한국무인기안전협회 로고

한국무인기안전기술 쇼핑몰 바로가기

알림마당

Home 알림마당 공지사항&뉴스

공지사항&뉴스

에어택시, 비도심서 하늘길 먼저 낸다

2025 UAM 상용화 박차



비도심·도서지역 안정성 확보



대중 수용성도 도심 보다 유리



인천·제주·강원 지역기반 실증



데이터 확보 후 도심으로 확대



아스트로엑스, 유관기업과 협업



올 대한민국 드론·UAM博 참여



대우건설 등 그랜드챌린지 도전





대우건설·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컨소시엄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 챌린지에서 제시한 도서지역 UAM 관광사업 전경 렌더링. 켄코아는 자체적으로 UAM 관광을 목표로 실증사업을 이미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까지 관광 및 화물 드론을 연계한 UAM 시장 선점 로드맵을 보유하고 있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제공]





대우건설 기투자업체 아스트로엑스가 개발한 e-VTOL(전기 수직이착륙) 기체 ‘ASX-PAV1’이 서울 강서구 일대에서 비행 테스트를 하고 있는 모습. 아스트로엑스는 지난해 서울시 테스트베드 PAV 사업자로 선정돼 비행실증을 진행 중이다. KC 인증을 마치고 이달 중 국토부 안전성 인증을 확보할 예정이다. [대우건설 제공]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하늘을 나는 택시’는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정부가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의 목표 시점으로 제시한 건 2025년. 그러나 3년 뒤 한강 위를 오가는 UAM을 보긴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다만 비도심 하늘길을 나는 UAM은 앞으로 3년이면 마주할 것이라는 낙관론이 제기된다. 실증사업을 통해 안전성과 대중수용성을 확보하는 데 도심보다 유리하다는 이유에서다. 택배를 나르고 관광을 지원하며 재난에 대응해 사람을 구하는 UAM이 도심이 아닌 도서지역 등에서 수년 내 현실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모빌리티 시대 본격 개막’을 국정과제로 삼고 2025년 UAM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와 법·제도, 실증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해 놓고 있다.



UAM은 도심 상공에서 사람을 운송하는 교통수단으로 말하자면 비행기와 자동차와 드론이 합쳐진 업그레이드 버전의 이동체다. 아직 실현화되지 않은 시장이라 전망은 제각각이지만 세계 UAM 시장이 2040년까지 731조원(609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우리 정부는 예측한다. 시장 선점을 노리는 정부는 한국형 UAM(K-UAM) 육성에 나섰고 2025년 상용화 초기 단계에 진입하겠다는 로드맵을 세웠다.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본격화한 것도 그 일환이다.



그러나 업계의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상용화의 기준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이름에서부터 ‘도심’의 뜻을 담고 있는 UAM을 2025년 도심에 띄우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일단 인증기준이 아직 없다 보니 띄울 기체가 없다. UAM 이착륙장인 버티포트 등 인프라 설계·운영 기준도 정립되지 않았고 통신이나 항로, 관제, 서비스 등에 대한 기술 표준도 로드맵만 나온 초입 단계다. 실증 토대가 어느 정도 마련된다고 하더라도 고도제한, 지역사회의 안전 불안 등이 있어 도심 내 사업은 단기간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비도심·도서 지역부터 실증사업을 진행해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한 뒤 도심으로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사람이 타지 않는 UAM 비행체를 강이나 해안, 산악, 섬 지역에서 먼저 띄워 안전성을 확보하며 필요한 제도적 보완책을 찾자는 것이다. 단순히 이동 수단으로서의 성장성뿐 아니라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의 사업성을 고루 살필 수 있다는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실제 전국 주요 지자체는 UAM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실증사업 추진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섬이 많은 인천이 대표적이다. 서울 도심과 인천공항을 잇는 주요 구간 항로 개발과 함께 교통환경이 미흡한 섬 지역에서 주민을 위한 물류, 응급구호 물품 배송 등의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예컨대 인천의 한 섬에는 관제시스템을, 다른 섬에는 버티포트를 지어 UAM 기체가 오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식이다. 섬 연계 UAM을 바탕으로 향후 도시 간 이동이 가능한 RAM(지역항공교통)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인천 기반 기업인 아스트로엑스는 인천 도서지역 UAM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를 추진 중이다. 대우건설이 지분을 투자하고 있는 아스트로엑스는 e-VTOL(전기 수직이착륙) 유무인비행체를 자체 기술로 제작하는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서울시 테스트베드 PAV(개인용 비행체) 사업자로 선정돼 현재 비행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KC 인증을 마치고 이달 중 국토부 안전성 인증을 확보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항로 개설이나 관제, 버티포트 등의 인프라 개설은 지방정부가 해야 하는 몫”이라며 “UAM 분야 글로벌 실증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도시 간 협력체를 만드는 등 UAM 초기 운영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나 강원 등지에서도 UAM 실증사업 시행 가능성이 점쳐진다. 일단 제주의 경우 UAM을 활용한 관광산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구밀도가 낮고 비행공역이 비교적 자유로워 UAM 조기 상용화 지역으로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드론이나 헬기를 우선 이용하되 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 서귀포 인근 섬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항공길을 찾아 실증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지난해 10월 JDC(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와 관광·의료·물자·여객 운송시스템 구축 등 UAM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항공기 전문기업인 켄코아는 자체적으로 UAM 관광을 목표로 실증사업을 이미 진행하고 있으며, K-UAM 그랜드챌린지에는 대우건설과 컨소시엄을 꾸려 도전하고 있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아스트로엑스가 개발하고 비행허가 인증까지 받은 기체를 활용해 UAM 실증이 선제적으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산악지형이 많은 강원의 경우 관광뿐 아니라 산불, 재난, 의료 등에 대응하기 위한 특수목적형 사업 발전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원주시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특수목적 유·무인 산업생태계 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돼 UAM센터 설립이 확정되기도 했다. 특수목적형 UAM을 시작으로 관련 생태계를 구축하고 강원~서울 간 노선을 발굴하는 등 UAM 수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전망이다.



김상현 항공대 항공물류운송학부 교수는 “서울 한복판에서 2025년 시작하긴 어렵겠지만 많은 지자체가 팀코리아에 참여하는 등 관심을 가지고 지역 환경에 맞는 사업모델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면서 “기업이 특정 지역에서 유상 UAM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로는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15일 국토교통부 주최로 열리는 ‘2022 대한민국 드론·UAM 박람회’에는 K-UAM 그랜드챌린지에 도전하는 대우건설, SK텔레콤, 한화시스템, KAC(한국공항공사),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컴인스페이스, LIG넥스원 등이 참여해 UAM 팀코리아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